성격검사
선호 경향을 파악하며 성격의 장단점이 무엇이고, 어떤 분야의 일을 즐기면서 성취할 수 있는지,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잘맺을 수 있는지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진단검사
자신의 성격, 적응 및 마음건강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며 심리적 상태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진로·적성검사
진로정체성과 관련된 4개의 척도와 6개의 직업적 성격유형에 대한 활동, 역량, 직업, 자기평가 영역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의 진로유형 및 전공이나 직업정보 뿐만 아니라 진로정체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Holland 모형을 기초로 한 일반직업분류, 세분화된 기본흥미척도, 개인특성척도로 나눠져 있으며 어떠한 직업이 적합한지 어떠한 환경에서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다차원적인 개인 특성(흥미, 능력, 가치)탐색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특성에 적합한 진로를 탐색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투사검사
미완성된 문장을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성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자신과 가족, 타인에 대한 태도, 미래와 과거에 대한 태도, 성향 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투사적 그림을 통해 자신의 성격, 적응 및 마음건강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며 심리적 상태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검사 진행에 대한 저항이 적으며 동일 환자의 그림을 배열했을 때 질병의 경과를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역동성과 내담자의 더 깊은 내면의 세계를 잘 반영해 줄 수 있습니다.
가족을 그리게 하여 가족의 체께나 내담자의 가족 지각을 파악하고 해석에 있어서는 인물상의 행위와 그림의 양식(구분, 포위 등), 상징(책상 등), 그림의 역동성(크기, 거리, 방향, 생략 등)을 기준으로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학교의 친구와 선생님을 포함해서 그림을 그리게 하여 내담자의 학교생활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